창업

창업을 하기전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될 것들

allfreeinfo 2025. 10. 29. 15:59

요즘들어 창업을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특히, 커피전문점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지역및 상권등에 따라서 임대료 및 유동인구가 차이가 있고

매출도 큰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보통의 관점에서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대료

임대료의 경우 요즘은 월 200만원에서 300만원이 많습니다.

더 낮은 임대료의 경우에는 유동인구가 없고 이유가 있습니다.

물론, 임대료가 더 높다고 무조건 유동인구가 많고, 장사가 잘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보통의 임대료 기준으로 250 기준으로 계산을 해보는 것이 가장 보편적이라 할 수있습니다.

원가

매장

많은 분들이 음료의 원가는 얼마 안할꺼라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생각보다 원가는 높습니다.

에이드를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에이드의 경우 대략3천원 초반입니다. 

여기에 들어가는 탄산음료의 경우 대략500원이고, 일회용 컵, 빨때, 얼음등의 비용을 더해보았자 25%미만으로 생각을 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원가는 30~35%정도 합니다. 음료에 따라, 혹은 베이커리에 따라 원가율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요즘은 할인등을 하게되면 점주의 부담이 있습니다. 따라서, 37%정도를 원가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배달

배달의 경우에는 배달비가 상당히 비쌉니다. 업체에 따라 거리에 따라 틀립니다. 하지만 여유롭게 대략 평균 30%로 계산을 해보시는게 났습니다. 그렇다면 배달의 경우 원가는 60~65%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인건비

인건비의 경우, 많은 분들이 풀타임보다는 파트타임으로 씁니다.

풀타임으로 고용을 할 경우 각종 비용이 추가될 뿐만 아니라 주휴수당등의 문제도 있습니다.

최저시급으로 계산을 해보기보단 11,000원으로 계산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8-11시 1명 (총 3시간)

11- 14시 2명 (총 6시간)

14-17시 1명 (총 3시간)

17-22시 2명 ( 총10시간)

총 22시간에 대한 비용은 242,000원 입니다. 물론 고용하는 시간에 따라 주휴수당등 추가 비용이 들수도 있고,

적게 아르바이트생을 고용하면 비용이 적게 나갑니다.

월 매출 3천 이상의 경우에는 혼자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피크타임의 경우 최소 2명은 있어야 됩니다.

30일 기준 월 인건비는 7,260,000원 입니다.

 

추가비용

여기에 공과금, 부가세, 가맹비, 인터넷, 보험, 광고등의 비용이 들어갑니다.

카페의 경우 특히 여름철에는 전기료가 상당히 많이 들어갑니다.

매장내 테이블이 어느정도 있는 경우 전기, 수도세만 해도 100만원은 넘어갈 가능성이 큽니다.

따라서, 생각보다 많은 추가비용이 발생합니다. 

요약

단위: 만원

매출(월) 2500 기준 3000 기준
임대료비율( 250만원 기준) 10%  8.4% 
원가 37% 37%
인건비 29.1% 24.2%
추가비용( 200만원 기준) 8% 6.7%
합계 84.1% 76.3%

 

 

따라서, 2500만원의 매출이 나온다면, 약 397만원, 3000만원의 매출이 나온다면 711만원의 수익이 발생합니다.

물론, 위의 예시는 매장 판매 기준입니다. 

배달이 많은 매장의 경우에는 수익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습니다. 배달의 경우에는 배달비로 인하여 원가율이 높기 때문이죠.

 

눈치를 채셨겠지만, 매장운영의 포인트는

 

1. 매장이 작을 수록 좋다. 

  이유는 매장이 클수록 임대료증가, 청소, 설겆이등으로 인하여 인건비 상승할 가능성 UP.

2. 테이크아웃매장이 좋다.

3. 배달이 아닌 테이크 아웃으로 월매출을 일으킬수 있는 곳이 좋다.

 

이상 창업을 하기전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될 내용을 포함하여 글을 작성했습니다.

창업을 생각하고 고민을 하고 알아보니 좋은 자리는 내가 공부하고 찾아야 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창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업을 할 때 적정 임대료 또는 매출 고민해보기  (2) 2025.06.10